시민의영화관 달빛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시민의영화관 달빛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1)
    • 알립니다 (1)
    • 시민의 영화인문학 (10)
      • 영화교육 방법론 (4)
      • 영화와 사랑할'지도' (2)
      • 영화 이야기 (2)
      • 영화인문학 이야기 (2)

검색 레이어

시민의영화관 달빛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시민의 영화인문학/영화교육 방법론

  • 자크 오몽의 <영화작품 분석>에 관하여

    2020.03.26 by 별그물

  • 마사 누스바움의 예술 감상법을 통해 영화 감상하기

    2020.03.14 by 별그물

  • 마사 누스바움의 예술 감상법과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

    2020.03.14 by 별그물

  •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2020.03.13 by 별그물

자크 오몽의 <영화작품 분석>에 관하여

과 소비적 관람 문화 프랑스의 영화학자 자크 오몽의 (아카넷. 이윤영 옮김. 2016)은 영화 감상이 일상이 된 시대에 어떤 의미를 줄까. (은 최근에 (아카넷. 이윤영 옮김. 2020)라는 제목으로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아래와 같은 옮긴이의 말은 의미심장하다. 영화작품 분석은 최소한 다음 두 가지 의미에서 영화 작품을 대하는 세태에 대한 저항이다. 먼저 본문(8.4)에서 저자들이 언급하듯이, 다시 볼 가치가 있든 없든 모든 영화를 무차별적으로 한 번 보고 잊어버리는 소비적 관람 행태에 맞서는 저항이며 “새로운 영화가 예전 영화보다 낫다”는 지배적인 통념에 맞서는 저항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다시 보기, 꼼꼼하게 보기, 자세히 보기는 한 번 보기, 얼핏 보기, 대충 보기에 맞서는 행위이며, 해당 영화..

시민의 영화인문학/영화교육 방법론 2020. 3. 26. 19:55

마사 누스바움의 예술 감상법을 통해 영화 감상하기

이번 글을 읽기에 앞서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과 그의 교육론을 통해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본 아래 글들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2020/03/13 - [시민의 영화인문학/누스바움의 시네마] -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세계적인 정치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의 사상적 궤적은 실로 방대하여 그것을 간략히 개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누스바움의 책은 대체로 두껍다. 가장 최근에 출판된 (2019) 역시 684 페.. civic-cinema-class.tistory.com 2020/03/14 - [시민의 영화인문학/누스바움의 시네마] - 누스바움의 시네마: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 누스바움의 시네마: ..

시민의 영화인문학/영화교육 방법론 2020. 3. 14. 14:41

마사 누스바움의 예술 감상법과 영화의 교육적 가능성

지난 글에서는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이 예술 교육의 중요성으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해당 글은 아래와 같다.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참고하면 될 것 같다. 2020/03/13 - [시민의 영화인문학/누스바움의 시네마] -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세계적인 정치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의 사상적 궤적은 실로 방대하여 그것을 간략히 개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누스바움의 책은 대체로 두껍다. 가장 최근에 출판된 (2019) 역시 684 페.. civic-cinema-class.tistory.com 왜 소설인가 이번 글에서는 마사 누스바움의 예술 교육 방법론을 영화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

시민의 영화인문학/영화교육 방법론 2020. 3. 14. 00:39

예술, 감정, 정치, 교육: 마사 누스바움의 철학에 관하여

세계적인 정치 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의 사상적 궤적은 실로 방대하다. 학문적 주제는 정치철학, 감정 철학, 법철학, 교육, 공공정책 등으로 다양하며 이를 다루는 방법론 또한 철학, 심리학, 인류학, 문학, 음악, 동물행동학 등 학제를 넘나 든다. 하여 누스바움의 책은 대체로 두껍다. 가장 최근에 출판된 (2019) 역시 684 페이지에 달한다.그런 면에서 284페이지 정도의 분량에 그녀의 주요 기획이 잘 정리된 (2013)는 누스바움에 입문하는데 아주 좋은 저서일 것이다. 시민의 영화관에서는 문학적 상상력과 공적 삶을 연결 짓고자 하는 누스바움의 기획을 차용하여, 그녀의 방법론을 영화보기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정치철학의 재발견 그에 앞서 우선 누스바움의 기획이 가진 인문학적 맥락을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

시민의 영화인문학/영화교육 방법론 2020. 3. 13. 00:0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시민의영화관 달빛 유튜브
시민의영화관 달빛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